본문 바로가기

storys

윈도우 10 업데이트 날씨 뉴스 아침에 출근하니 이상한게 생겼다. 1. 시도. 우선 맞춤형으로 설정 테스트 결론. 안됨 그래도 뉴스가 다나옴. 시도 2. 차단 설정 이용 해보기 결론. 실패 그냥 나옴... 의미가 없는 기능을 왜....? 시도 3. 맘에 안들면 안보이게 - 작업표시줄 날씨 영역 우클릭 > 뉴스 관심사 > 끄기 결론. 해결 편의를 위해 만든 기능들은 최소한 구미에 맞게 사용 가능하게 해주면 좋겠다. 날씨만 보였다면 그냥 썼을지도 모르겠네요. 더보기
11월 21일부터 시작된 conf@etnews.com로 부터 전달된 스팸의 기억 회사 계정으로 어마어마한 양의 스팸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이유를 알수없어 메일 서비스 회사에 문의를 해보았으나 스팸으로 등록 처리 하라는 답변.다만 이건 불특정 다수의 메일이라 스팸으로 처리 하기도 난감한 상황 스팸함을 천천히 들여다 보니 conf@etnews.com 이 계정으로 오는 모든 메일이 나에게 포워드 되고 있음을 확인 다우오피스 측에서 히든cc로 보내고 있을수 있다는 답변을 들은 터라 저쪽 계정에서 임의로 포워드 되고 있다고 판단이 되어 메일을 보내보았습니다.결과는 보시는 바와 같이 저한테 고대로 전달..... 제가 보낸 메일을 제가 받은 셈이지요 더불어 나도 같은 상황을 겪고 있다는 회신도 들어옵니다. 그래서 바로 etnews.com연락처를 찾아 문의하였습니다. 경영지원실 연결 -> 타부서.. 더보기
개쉽싸리, 존넨쉬름 싫은사람에게 선물하는 꽃 싫은 사람에게 선물하는 꽃 1탄 2탄 셋트로 주면 된다고 합니다. 개쉽싸리 존넨쉬름 더보기
티스토리 유입 경로 : android-app://com.google.android.googlequicksearchbox 열심히 하지 않는 블로거 라지만.궁굼한 건 또 찾아봐야 직성이 풀려서 찾아보았습니다. 유입로그 이미지 해당 내용android-app://com.google.android.googlequicksearchbox 뭔가 어플 패키지 네임 같네요. 구글 플레이 주소로 변환을 해보죠.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googlequicksearchbox 이앱을 통해서 접속한 경우 유입로그에 측정 되는것 같네요. 별거 아니어서 뭔가 허무하네요 더보기
MSSQL 2008 테이블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변경 내용 저장 사용 안함 SSMS의 메뉴->도구->옵션 에서 Designers 의 테이블 옵션 중 [테이블을 다시 만들어야 하는 변경 내용 저장 사용 안 함] 을 체크 해제하시면 됩니다. 위의 옵션은 아래 액션들에 대해 해당됩니다. [온라인 도움말 내용 중] 다음 동작을 수행하려면 테이블을 다시 만들어야 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의 중간에 새 열 추가 열 삭제 열의 Null 허용 여부 변경 열의 순서 변경 열의 데이터 형식 변경 더보기
window server 열린 포트 확인 시작 -> 실행 -> cmd -> 확인 window + R -> cmd -> 확인 C:\Users\Administrator>netsh firewall show portopening 도메인 프로필에 대한 포트 구성: 포트 프로토콜 모드 트래픽 방향 이름 ------------------------------------------------------------------- 8080 TCP 사용 인바운드 speedmeeting server 443 TCP 사용 인바운드 visualSVN(443) 3690 UDP 사용 인바운드 Svn UDP 3690 TCP 사용 인바운드 SVN TCP 6060 TCP 사용 인바운드 learnday 3306 TCP 사용 인바운드 MySQL Server 85 TCP 사용 인바운드 .. 더보기
Visual Studio, Eclipse 줄정렬 단축키 매번 줄정렬 하기 귀찮으시죠?? 알아두면 유용한 팁 입니다. Visual Studio 2005 , 2008, 2010 : Ctrl + K 누른후 Ctrl + F Eclipse : Ctrl + i or Ctrl + Shift + F 여기서 중요한건 줄정렬 할 부분을 드래그해서 선택해두어야 합니다. 주로 Ctrl + A로 선택하지요... 더보기

반응형